Pycharm → Python 전용 IDE
Python의 4대 자료구조
print == System.out.println() |
format() .format() % {} f-string |
input == Scanner s.nextLine s.nextInt, s.nextFloat |
항상 문자열 타입으로 변환
몫 구하는 함수
연산자 종류
+ 산술연산자 연결연산자(양쪽 값의 타입이 일치해야 한다.) i = "Hello"+str(3) |
* 산술연산자 반복연산자 i="Hello" * 3 # i == "HelloHelloHello" |
비교 연산자 - >, >=, <, <=, ==, != |
논리 연산자 and, or, Not - if(score >= and score <90) : 다른 언어의 예 - if 80<=score<90 : Python의 논리 연산자 |
증감 연산자 ++, -- : 다른 언어의 예 i += 1 : python i = i+1 : python |
if문 : python은 들여쓰기를 꼭 맞춰야 한다.
if 조건식 : 실행문1 실행문2 |
if 조건식 : 실행문1 else : 실행문2 실행문3 |
if 조건식 : 실행문1 elif 조건식2 : 실행문2 else : 실행문3 실행문4 |
while문
while 조건식 : 실행문1 continue break 실행문N 실행문X |
if, while, for-in : 파이썬에서 쓰는 조건문
switch-case, do-while, for(i=0;i<10;i++)
for문
for(i=0;i<100;i++) : 다른 언어의 예 |
for (변수명) in range(초기값,최종값+1,증감값) : python의 for문 예시 range(0,100,1) == range(100) range(2,10) range(0,100,2) |
[2단부터 9단 구구단]
for i in range(2,10,1):
print()
for j in range(1,10,1):
# print(str(i)+"X"+str(j)+"="+str(i*j))
print(f'{i}x{j}={i*j}')
list []
코드 :
for name in lName:
print(name)
name='unnamed'
print('\n', '-' * 30)
for name in lName:
print(name)
결과 : name이 바뀌므로 결과는 그대로
Latte Mocca Espresso Cappuccino Americano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Latte Mocca Espresso Cappuccino Americano |
코드
for i in range(len(lName)):
print(lName[i],end=',')
lName[i]='unnamed'
print('\n','-'*30)
for name in lName:
print(name, end=',')
결과 : lName이 바뀌므로 결과가 변함
Latte,Mocca,Espresso,Cappuccino,Americano,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unnamed,unnamed,unnamed,unnamed,unnamed, |
코드
lStudent=[]
name=input('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')
while name!='':
lStudent.append(name)
name=input('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')
print('\n','-'*50)
for name in lStudent:
print(name,end=', ')
결과
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민지 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한글 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되나 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궁금 학생이름을 입력하시오 ["":종료]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민지, 한글, 되나, 궁금, |
코드
lstn=[]
lstm=[]
avg=0
sum=0
stname=input('학생명을 입력하세요 ["":종료] : ')
while stname!="":
lstn.append(stname)
stmsc = int(input('학생의 수학점수를 입력하세요 : '))
lstm.append(stmsc)
sum+=stmsc
stname = input('학생명을 입력하세요 ["":종료] : ')
print('\n','-'*50)
for name,math in zip(lstn,lstm):
print(name,'=',math)
avg=sum/len(lstm)
print(f'총점 :',sum)
print(f'평균 :',avg)
결과
학생명을 입력하세요 ["":종료] : john 학생의 수학점수를 입력하세요 : 85 학생명을 입력하세요 ["":종료] : lisa 학생의 수학점수를 입력하세요 : 90 학생명을 입력하세요 ["":종료] :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ohn = 85 lisa = 90 총점 : 175 평균 : 87.5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|
tuple (), 없음
set {값1, 값2, ..., 값N}
dictionary {key1:value1, key2:value2, ..., keyN:valueN}
2024.04.25 (1) | 2023.04.25 |
---|---|
2023.04.24 (1) | 2023.04.24 |
2023.04.21 (0) | 2023.04.21 |
2023.04.20 (1) | 2023.04.20 |
2023.04.18 (0) | 2023.04.18 |